본 글은 '이것이 취업을 위한 컴퓨터 과학이다 with CS 기술 면접' 책을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LAN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기술 중 가장 핵심적인 프로토콜인 IP(Internet Protocol)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. ✔️ IP의 목적과 특징IP의 목적은 크게 주소 지정과 단편화로 나뉜다. 1. 주소 지정주소 지정은 네트워크 간 통신 과정에서 호스트를 특정하는 것을 의미하며, IP 주소를 통해 이루어진다. 주소 지정을 위해 필요한 송신지와 수신지의 IP 주소는 IP 패킷 헤더에 포함된다.IP 주소는 총 4byte(32bit)의 크기로 구성되며, 숫자 당 0~255 범위의 10진수 4개로 표기된다. 각 10진수는 `.`으로 구분하는데, 이때 하나의 10진수를 옥텟이라고 ..
본 글은 '이것이 취업을 위한 컴퓨터 과학이다 with CS 기술 면접' 책을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. 네트워크 통신 모델에서 가장 하위 계층인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을 간단하게 정리하자면, 물리 계층: 통신 매체를 통해 비트 신호를 운반하는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: 같은 LAN에 속한 호스트끼리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계층이다. LAN 내의 호스트들이 올바르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다양한 기술 중 하나인 이더넷에 대해 보자. ✔️ 이더넷이더넷(Ethernet)은 LAN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통신 기술로, 여러 장치(컴퓨터, 공유기 등)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. 이더넷은 통신 매체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,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주고받는 ..
본 글은 '이것이 취업을 위한 컴퓨터 과학이다 with CS 기술 면접' 책을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. 네트워크란?네트워크(Network)는 Net + Work의 합성어로, 그물처럼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. IT에서 사용되는 컴퓨터 네트워크는 두 대 이상의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. ✔️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 네트워크는 노드와 간선으로 이루어진 그래프의 형태이다. 네트워크 기기가 노드, 네트워크 기기 간 정보를 주고받는 통신 매체가 간선이다. 위 그림과 같이 네트워크 상에서 노드와 노드 사이의 연결 구조를 네트워크 토폴로지라고 하며, 아래 다섯 가지 유형이 있다.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받는 정보를 최초로 송신하고 최종으로 수신하는 노드를 호스트라고 하..